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9
■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 안 배선의 사용전압이 저압일 때 시설할 수 있는 공사방법 : 금속관공사, 케이블 공사, 함성수지관 공사
■ 동기기 손실
- 무부하손 : 기계손(마찰손, 풍손), 철손(시스테리시스손, 와류손)
- 동손(주하손) : 줄열로 발생하는 손실 저항손
■ 누설자속
- 자기저항이 큰 경우 많아 진다.
- 자로에 공극이 생기면 자기저항이 커진다.
- 자로의 자속 밀도가 높거나 단면적이 작으면 자기저항이 커서 누설 자속이 커진다
- 자로가 포화되면 자기저항은 커진다.
■ 계기용 변압기(PT)는 교류전압 측정 목적으로 하여 정격 2차 표준전압은 110V 이다.
- 수 변전 설비의 고압회로에 걸리는 접압을 표시하기위해 고압회로와 전압계 사이에 시설
■ 지중 전손로의 매설 방법
- 관로식, 암거식, 직접 매설식
■ 유도 전동기에서 슬립 s=0 이면 전동기는 동기속도 회전하고 있는것, 부무하 상태
슬립 s=1 이면 전동기는 정지상태
■ 직류기
- 계자 : 성층 철심의 권선에 전류를 흘려 주자속을 만드는 부분(전자석 또는 영구자석)
- 전기자 : 계자에서 발생한 주자속을 회전하며 끊어 기전력을 유기하는 부분
- 정류자 : 전기자에서 발생한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 주는 부분 (AC->DC)\
- 슬립링 : 교류 전압을 외부로 흐르게해주는 부분
■ 저압 전로의 중성점에 시설하는 접지도체는 공칭단면적 6mm^2 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쉽게 부식하지 않는 금속선이어야 한다.
■ 접지의 목적
- 전선의 대지 전압의 저하
- 보호 계전기의 동작 확보
- 감전의 방지
- 화재의폭발사고 방지
■ 동기기의 전기자 권선법
- 2층권, 중권, 분포권, 단절권
■ 변압기의 정격출력
- 정격 2차 전압× 정격 2차 전류
- 정격주파수 및 정격역률로 2차 단자 사이에서 얻을 수 있는 피상전력
■ 접지공사
- 사용전압이 교류 대지전압 220V인 기계 기구를 전조한 곳에 시설할때 접지공사를 함
-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급속제 외함에 의한 접지공사는
˙ 사용전압이 직류 300V 또는 대지전압이 150V 이하인 기계기구를 건조한 곳에 시설
˙ 외함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기계기구에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
˙ 철대 또는 외함의 주위에 적당한 절연대를 설치하는경유
하지 않아도 된다.
■ 동기 발전기를 회전 계자형으로 하는 이유
- 고전압에 견딜 수 있게 전기자 권선을 절연하기 쉽다.
- 전기자 단자에 달생한 고전압을 슬립링 없이 간단하게 외부 회로에 인가할 수 있다.
- 기계적으로 튼튼하게 만드는 데 용이하다.
■ 접지저항 저감
- 접지봉의연결 개수 증가
- 접지판의 면적 증가
- 전지극읖 깊게 매설
- 토양의 고유저항을 화학적으로 저감
■ 플러그인 버스덕트 : 도중에 부하를 접속할 수 있도록 부하접속용 꽂음 플러그를 만든 버스덕트
■ 진성반도체(4가 원자)에 불순물(3가 원자)을 첨가하면 공유 결합을 해서 전자 1개의 정공이 생성된다.
- 결합 자유전자의 이탈에 의하여 생성
■ 스프링와셔(이중너트) : 진동이 한 전기 기계기구의 단자에 전선을 접속할 때 사용
■ 동기 발전기 무부하 포화 곡선
- 계자전류와 단자 전압의 관계
- 무부하에서 자속은 계자전류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 무부하 유기 기전력(단자전합)과 계자전류 관계 곡선
■ 3상 단락곡선 : 동기 발전기의 중성점을 제외한 저 ㄴ단자를 단락시키고 정격속도로 운전할 때, 계자전류와 단락전류의 관계 곡선
■ 부하 포화 곡선 : 계자전류와 단자접압의 관계
■ 외부 특성 곡선 : 부하전류와 단자 전압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