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하루/전기기능사 공부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2

by 복동80 2022. 5. 31.
728x90

■ 비(정현파)사인파의 일반적인 구성 : 직류성분, 기본파성분, 고주파성분

 

 단상유도 전동기는 기동방법에 따라 분상 기동형, 콘덴서 기동형(2차 콘덴서형, 영구콘덴서형), 반발 기동형, 세이딩 코일형 등으로 분류한다.

영구콘덴서 기동형은 원심력 스위치가 없고 가격도 싸며, 보수할 필요가 적고, 큰 기동 토크를 유구하지 않는 등 역률과 효율이 좋아가정용 선풍기, 전기세탁기, 냉장고 등에 주로 사용된다.

 

 변압기 절연내력 시험 : 변압기유의 절연파괴전압 시험, 가압 시험, 유도 시험, 충격전압 시험

유도 시험 : 변압기나 그 외의 기기는 층간 절연을 시험하기 위하여 권선의 단자 사이에 상호유도전압의 2배 전압을 유도시켜 시험

 

 회전기에 생기는 손실에는 고정손(철손)과 부하손(동손)으로 분류된다.

  ˙ 철손 : 자기회로 중에서 자속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히스테리시스손과 와류손이 있다.

  ˙  동손: 전류가 스르는 회로 중 저항에 의해 생기는 손실을 말하며 계자동손, 전기자 동손, 브러시 접촉저항에 의한 동손 등이있다.

 

■ 3상 동기 발전기의 상간 접속을 Y 결선으로 하면

  ˙  권선의 불평형 및 제 2고조파 등에 의한 순환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  중성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권선 보호장치의 시설이나 중성점 접지에 의한 이상 전압의 방지 대책이       용이하다.

  ˙  상전압이 낮아 코일의 코로나, 열화 등이 적다.

  ˙  절연이 용이하다.

 

■ 3상 교류발전기의 기전력에 대해서 90도 늦은 전류가 통할때의 반작용 기자력은 자극 축과 일치하고 감자 작용한다.

  ˙  교차자화 작용(횡축 반작용): 계자에 의한 기전력과 전기자 부하전류가 동상(역률 1). 전기자에 의한

     기자력과 계자 기자력이 90도 방향

  ˙  감자 작용(직축 반작용): 계자에 의한 기전력과 전기자 부하 전류가 90도 위상차(역률 0. 지상전류)

    전기자에 의한 기자력과 계자 기자력이 180도 방향(직축)

  ˙  증자 작용(직축 반작용):전기자 전류가 계자기전력보다 90도 앞선 영우(진상 무효전류). 전기자에 의한         기자력과 계자 기자력이 0도 동일방향(계자 자속 증가)

 

  ˙  제백효과

    서로 다른 금속을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든 후 두 접합점의 온도를 다르게 했을 때 폐회로에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열전류가 흐르는 현상

 

  ˙  펠티에 효과

   서로 다른 금속을 접속시켜 폐회로를 만들고 전류를 흘리면 접합부에서 열이 발생 또는 흡수되는

  현상으로 전자 냉동기에 응용.

 

  ˙  톰슨 효과

   같은 종류 급속을 결합하여 두 점 간에 온도 차를 주고 고온에서 저온쪽으로 전류를 흘리면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가 일어나는 현상

 

과전류 차단기의 시설 장소 제외장소

  ˙  접지공사의 접지선

  ˙  접지공사를 한 저압 가공 전선의 접치 측 전선

  ˙  다선식 전로의 중성선

 

과전류 차단기 설치하는 곳은 : 간선의 전원 측 전선

 

 강자성체

- 자석으로 어떤 물체를 자화시킨 후 자석을 제거하여도 자성체가 계속 자석의 성질을 유지하는 물체로

철, 코발트, 니켈 등이 있다.

- 자기장의 세기가 가장 강하며, 자화될 때 자극이 반대 방향으로 된다.

 

 상자성체

- 자석으로 어떤 물체를 자화시킨 후 자석을 제거하면 자석의 성질을 바로 잃어버리는 물체로 알루미늄, 산소, 텅스텐, 공기 등이 있다.

- 자화될 때 자극이 반대 방향으로 된다.

 

 역자성체

- 자화도리 때 자극이 외부 자석의 자극과 같은 방향으로 자화되는 물체이다.

- 구리, 아연, 납 등이 있다.

 

 금속관 공사

- 교류 회로는 1회로의 전선 전부를 동일 관 내에 넣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교류 회로에서 전선을 병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내에 전자적 불평형이 생기지 않도록 시설한다.

- 금속관 내에서는 전선 접속점을 만들지 않아야 한다.

- 관의 두께는 콘크리트에 매입하는 경우 1.2[mm] 이상이어야 한다.

 

 

굵기가 일정한 도체에서 체적은 변하지 않고 지름이 1/n 로 줄었다.

   저항은  n의 4제곱 배로 된다.

전기기기에서 철심은 자기회로를 만드는 부분으로 회전에 따른 자속 방향이 수시로 변화하면서 와전류

(성층 설심으로 감소) 손실이나 히스테리시스(규소강판 사용으로 감소) 현상에 의한 철손이 생기계 된다.

따라서 계자(전기자) 철심은 이 철손을 줄이기 위해서 두께 0.35[mm]~ 0.5[mm] 정도의 얇은 규소 강판을

성층해서 만든다.

 

전선 접속 시 주의 사항

- 전선 접속 부분의 전기 저항을 증가시키지 말 것

- 전선 접속 부분의 인장 강도를 80(%) 이상 유지할 것

- 전선 접속 부분의 인장 하중을 20% 이상 감소시키지 말것

- 이종(서로성질이 다른전선) 전선의 접속 시는 부식 고려

 

 

동기 전동기에서 공급 전압 V 및 출력 P를 일정한 상태로 두고 여자만을 변화시켰을 경우 전기자 전류의 크기와 역률이 달라지는데, 위상 특성 곡선에 따라 회전자의 계자 전류를 변화시키면 고정자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변하게 된다.

- 여가자 약할 때(부족여자) : 전류가 전압보다 지성 역률(뒤짐)

- 여자가 강할 때(과여자) : 전류가 전압 진상 역률(앞섬)

- 여자가 적합할 때 전류가 접압과 동위상으로 역률 1

 

728x90

'나의 하루 > 전기기능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4  (10) 2022.06.23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3  (4) 2022.06.07
22.05.17 기출문제 풀이 001  (5) 2022.05.17
22.05.10 앙페르 오른나사법칙  (4) 2022.05.10
자기 성질과 자기장  (12) 2022.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