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하루/전기기능사 공부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3

by 복동80 2022. 6. 7.
728x90

 배선 공구

- 권척(줄자) : 관이나 전선의 길이 측정

- 메거 : 절연 저항 측정

- 와이어 게이지 : 전선의 굵기(직경) 측정

- 와이어 스트리퍼 : 절연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공구

 

 

 전동기 기동법

 

: 고정자 3상 권선을 운전 시에는 △로 연결하고 기동시에만 Y로 연결사면 1상 권선에 가해지는 전압은 기동 시 전 전압의 60% 정도로 보통 5~15[kW] 정도까지 적용

 

- 전전압 기동법 : 소용량의 농형 유도 전동기에 적용하며 보통 5[kW] 이하에 적용

- 기동 보상기법 :

       단권 변압기의 원리를 적용하여 공급 전압을 낮추어서 기동시키는 방법. 15[kW] 이상에 적용

- 리액터 기동법 : 전원과 전동기 사이에 직렬리액터(공극이 있는 리액터)를 삽입하여 전동기 단자에 가해지는 전압을 떨어뜨리는 방법

- 2차 저항기법 :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기동 및 운전에 적용하는 방법

 

 

 동기 발전기에서 단락비가 큰경우

- 전기자 반작용이 작다.

- 동일 정격에 대하여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 전압변동률이 양호 (작다) 하다.

- 기계가 크고 중량이 무거우며 가격이 고가이다.

 

 

 변압기 V 결선의 특징

- 고장 시 응급처치 방법으로도 쓰인다.

- 단상변압기 2대로 3상 전력을 공급한다.

- 부하증가가 예상되는 지역에 시설한다.

- 부하 상태에 다라서 2차 단자전압은 불평형으로 될 수 있다.

 

 

■ 변압기의 온도 시험법은 반환 부하법, 단락 시험법, 실 부하법 등이 있는데 가장 널리 사용하는 방법은

단락 시험법, 반환 부하법이다.

 

- 단락 시험법 : 변압기의 권선을 단락하고 전 손실에 해당하는 부하 손실을 공급하여 온도 상승을 측정

- 반환 부하법 : 전력을 소비하지 않고,

                        온도가 올라가는 원인이 되는 철손과 구리손만 공급하여 시험하는 방법

- 실부하 시험 : 변압기에 전 부하를 걸어서 온도가 올라가는 상태를 시험하는 것으로,

                        전력이 많이 소비되므로 소형기에서만 적용

 

 

가연성 분진, 성냥, 석유류, 셀룰로이드 등의 위험물질을 제조하거나 저장하는 곳의 전기 시설물은

금속관 공사, 합성수지관 공사, 케이블 공사에 의하여야 한다.

 

알루미늄전선의 접속 방법

트위스트 접속 : 동전선의 접속 방법으로 단면적 6[mm^2] 이하의 가는 단선을 접속할 때 사용한다.

 

 

  수변전 설비의 고압회로에 걸리는 전압을 표시하기 위해 전압계를 시헐할 때 고압회로와 전압계 사이에 시설하는것은 계기용 번압기(PT) 이다.

 

금속관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 전선은 절연 전선이어야 한다.

- 금속관 안에서는 전선의 접속점이 없도록 한다.

- 알루미늄 전선은 단면적 16[mm^2]초과 시 연선을 사용 해야한다.

-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한 절연전선으로 연선이어야 한다.

 

 

조명기구를 반간접 조명 방식으로 설치하였을 때

- 위(상방향)로 향하는 광속의 양 60~90%

- 하반구 광속은 전 광속의 10~40%

 

  옥내의 건조하고 전개된 장소에서 사용전압이 400V 초과인 경우에는

애자 사용 공사, 금속 덕트 공사, 버스 덕트 공사로 시설하여야 한다.

 

 

배전반 및 분전반과 연결된 배관을 변경하거나 이미 설치되어 있는 캐비닛에 구멍을 뚫을 때 필요한 공구

녹아웃 펀치 : 캐비닛의 철판 등에 녹아웃(전선관을 넣기 위한 구멍)을 만들기 위한 공구로 홀소(호울 소우)와 같은 용도다.

             

 

동기기의 전기자 권선법은 2층권, 중권, 분포권, 단절권을 사용한다. 

 

 

직류 발전기의 운전 중에 계자 기자력에 영향을 미치고 자속의 분포가 일그러지는 현상을 전기자 반작용이라 한다.

이에 따른 현상에는 편자 작용으로 인한 전기적은 중성점이 이동, 주자속이 감소하여 기전력이 감소하며,

국부적으로 전압이 불균일해지며 브러시 부근에서의 불꽃 발생으로 인한 정류 불량의 원인 등이 된다. 

무부하 시에는 전기자 전류가 없어 중성점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동기 전동기를 과여자로 운전하면 회로에서 진상 전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일정한 교류 전압을 가하여 이것보다 90도 앞선 무효전류를 흘리는 점이 콘덴서와 닮았기 때문에

이것을 동기 조상기라 한다.   

 

 

 변압기

- 하나의 회로에서 교류전력을 받아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서 같은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성해서 다른 회로에 공급하는 기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전력이 들어가는 쪽을 1차(전원 측), 나오는 쪽을 2차(부하 측) 라 하며, 변압기를 사용하여 승압 또는 강압한다.

 

  직류기에서 정류를 좋게 하는 방법

- 전가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평균 리액턴스 전압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유도시켜 평균 기액턴스 전압을 제거, 리액턴스 전압을 없애고 정류작용을 하는 것을 전압정류라 하고 이것을 위해 주 자극 사이에 보극을 설치한다.

 

직권 전동기

- 계자권선과 전기자 권선이 직렬로 연결되어 전류가 같다.

-전기자와 계자권신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어서 자속이 전기자 전류에 비례하고, 토크는 전기자 전류의 제곱에 비례한다.

-부하 변동이 심하고, 큰 기동 토크가 요구되는 전동차, 크레인, 전기철도 등에 적용한다.

 

 

직류 분권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바꾸기 위해

- 계자 권선이나 전기자 권선 중 어느 한쪽의 접속을 반대로 하면 되는데 일반적으로 전기자 권선의 접속을 바꾸어 주면 역회전한다. 즉, 전기자에 흐르는 전류 방향을 바꾸어 주면 된다.

 

 

  전구의 점등

- 전구가 점등이 된 후 온도가 상승하여 점등 후의 저항이 크다.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

- 폐회로에서 기전력의 합은 전압 강하의 합과 같다.  기전력의합 = 전압 강하의 합

 

 

코일의 성질

-코일은 전류의 변화를 억제하는 특성이 있다.

- 공진, 상호유도, 전원노이즈 차단 기능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전도율이 커져서 온도 계수가 부(-)의 값을 갖는 물질

- 정온도 계수 :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도 증가한다. 구리, 은 등

-부온도 계수 :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은 감소한다. 탄소, 반도체, 전해액

 

  교류 전력에서 일반적으로 전기 기기의 용량을 표시하는데 쓰이는 전력 피상전력 [VA]

 

 

  3상 교류회로

 

     교류회로

  유효전력 P

 

 

  비오- 사바르 법칙 : 유한장에 전류가 흐를 때 주변 자계 사게를 구하는 법칙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