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

2022.09.14 결국에는 아직은 시기상조란 말인거군요 ★코스피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가 예상치를 상회했고, 특히 근원 CPI가 에너지 가격 하락에도 불구 예상치를 상회한 점이 부각되어 연준 긴축 우려가 심화되며 하락. 원랄러 환율은 1390원을 상회하며 원화약세 재차 심화. 최근 약세장에서 상대적으로 강했던 2차전지, 태양광, 방산,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종목 등 몇몇 종목이 강세를 보였으나 거의 대부분의 종목은 약세. 업종별로 비철, 제지업종이 상대적 강세 ★코스닥 2차전지 소재, 폐배터리 관련 종목군 등 선별적 강세를 보였지만 대부분의 종목은 약세. 철강, 제지 업종을 제외한 저 업종 약세 ★특징주 ♥ 동국산업 - 전기차, 신소재 사업에 따른 재평가 기대 증권가 분석에 상한가 ♥ 덕우전자 - 애플 청정 에너지 충전 기능 도입에 재생에너지 협력사 선정 보도.. 2022. 9. 14.
2022.09.13 이제 반등시기인가요? 코스피 2,449.54(+65.26) +2.74% (외국인 +3,970억, 기관 +7,154억) 코스닥 796.79 (+18.98) +2.44% (외국인 +1,090억, 기관 +2,276억) 원달러 환율 1,379.60(-7.20) -0.52% ■ 코스피 연휴간 ECB 자이언트스텝 단행과 다음주 연준 FOMC 자이언트스텝 우려에도 불구 미 CPI 발표를 앞두고 물가 정점 기대 및 러-우크라 전황 변화에 따른 요인에 상승. 미 CPI 정점 기대에 따른 소비 회복 기대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동반 강세로 지수 견인. 우크라이나의 하르키우 탈환 소식에 따른 러- 우크라 전황에 큰 변화가 생긴 가운데 현대에버다임, 현대건설기계 등 기계 업종이 우크라이나 재견 기대감에 강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방산주는 역으.. 2022. 9. 13.
22.08.31 들쑥 날쑥한 우리 증시 ★ 코스피 장초 연준 인사의 강경한 매파적 발언에 하락하기도 했지만 장중 중국 제조업 PMI가 기대치를 상회하였고, 원화약세가 다소 약화되며 상승. 중국 통화당국의 적극적인 위안화 가치 방어에 따른 동조화에 원화약세 기조 다소 주춤. 외인 현물 순매수 유입. 의료정밀, 철강, 운수창고, 전기전자 등 대부분의 업종이 강세 ★ 코스닥 외인이 순매수로 전환되며 외인, 기관, 동반 매수세에 상승. 오스템임플란트가 중국의 가격 인하를 위한 물량기반조달 정책에도 오히려 반사익을 볼 것이라는 증권가 분석에 급등하며 의료정밀 업종 강세가 특징적. 삼성전자의 이음5G장비 공급 확대 소식에 통신장비 종목군 강세가 특징적. 그외 운송부품, 반도체, 방송 등 대부분의 업종이 강세. ★ 특징주 ■ 고려아연 - 지분 경쟁 본격화.. 2022. 8. 31.
22.08.25 불확실성 회소. ★ 코스피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연준의 긴축 기조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0.25% 금리인상을 단행 빅스텝 불확실성 해소에 상승. 9월 FOMC에서 한미 간 금리역전이 다시 발생할 수 있음에도 원화는 강세로 가며 원화 약세 기조 약화. 기계, 운수창고, 제지, 시비스, 유통 등 대부분의 업종이 강세. 음식료 업종은 약세 중국 국무원 회의에서 리커창 총리 195조원 규모 인프라 투자 배정 보도에 해운, 철강 등 경기민감주 강세. ★ 코스닥 JYP엔터, 트와이스 컴백을 앞두고 있고 와이지 엔터 블랙핑크 선주문량 200만장 돌파 소식에 엔터업종 동반 강세. 그외 통신서비스, 소프트웨어, 벤처, 통신장비 등 거의 대부분의 업종이 강세. 반도체, IT부품, 등 거의 대부분의 업종이 강세.. 2022.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