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하루/전기기능사 공부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5

by 복동80 2022. 6. 27.
728x90

  전압의 종류

- 저압 AC(교류) 1.000V 이하 DC 1,500V 이하의 전압

- 고압 AC 1,000V~7,000V 이하의 전압

          DC 1,500V~7,000V 이하의 전압

-특고압 AC,DC 모두 7,000V 초과의 전압

 

 

■ 부흐홀츠 계전기는 변압기 내부 공장으로 인한 보호용으로 사용.

변압기의 주 탱크와 큰서베이터 사이에 설치

절연유의 온도 상승 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검출하여 권선 단락. 철심 고정 볼트의 절연 열화,

탭 전환기의 고장 등을 경보 및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

 

 

- 권척(줄자) : 관이나 전선의 길이 측정

- 메거 : 절연 저항 측정

- 와이어 게이지 : 전선의 굵기(직경) 측정

-  와이어 스트리퍼 : 절연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공구

 

 

- 단락시험으로 권선의 저항, 누설 리액턴스 2차를 단락하고 1차 측 정격 주파수 전압을 서서히 상승하면서 1차 전류와 압력을 측정한다.

- 1차 전류가 정격전류와 같을 때의 입력이 부하손이며, 전압계로 임피던스전압이 측정된다.

- 권선의 저항, 누설 리액턴스와 전압 변동율을 측정할 수 있다.

 

 

- 동손(부하손) : 줄 열로 발생하는 손실로 저항손

- 무부하손 : 기계손(마찰손, 풍손), 철손(히스테리시스손, 와류손)

 

 

- MOSFET : 전압 제어 소자로서 구동 전력이 적게 소모되고 구동 회로가 간단하며 다수 캐리어의 소자로서 고속 스위칭이 가능한 그레인(D), 소스(S), 게이트(G)의 3단자 소자이다.

 

- Diode(다이오드) :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흘리는 반도체 부품으로 재료를 실리콘 (규소) 이 많지만, 그 외에 게르마튬, 셀렌, 등이 있다.

용도는  전원 장치에서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정류기용, 라이오의 고주파에서 저주파 신호를 꺼내는 검파용, 전원의 ON/OFF 를 제어하는 스위치용 등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TRIAC (쌍방향성 3단자 사이리스터) : 사이리스터 2개를 역병렬로 접속한 것과 등가로, 양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교류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소자. 전력제어용, 조광 다이얼(AC), 등 교류 제어용으로만 사용.

 

- IGBT : 컬렉터(C), 에미터(E), 게이트(G) 를 가진 3단자 대전류, 고전압의 전기량을 제어할 수 있는 자기 소호형 소자.

파원 MOSFET의 고속성과 파워 트랜지스터의 저 저항성을 겸비한 노이즈에 강한 파워 소자.

고속 인버터, 고속 초퍼 소자로 활용

 

 

 RLC 직렬공진 회로에서 가장 최소가 되는 것은 임피던스 Z=R이다.

Z값이 최소이므로 전류는 최대가 된다.

 

 

 쥐꼬리 접속 : 박스 안에서 굵기가 같은 가는 단선을 2,3 가닥 모아 서로 접속할 때 이용하는 접속법

접속한 부분에 테이프를 갑는 방법과 박스용 커넥터를 끼워주는 방법이 있는데 박스용 커넥터를 사용할 때는 납땜이나 테이프 감기를 하지 않으므로 심선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주의 한다.

 

 

  전지의 양극에서는 음극에서 흘러들어온 전자를 받아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이 수소 기체로 인해 기전력이감소(분극작용) 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막기 위해 감극제를 사용한다.

 

 

 표준 부하 밀도 [VA/m^2]

공장, 공화당, 사원, 교회, 극장, 영화관, 연회장 등   10

기숙사, 여관, 호텔, 병원, 음식범, 다방, 학교 등      20

사무실, 은행 상점, 이발소, 미용실 등                      30

주택, 아파트                                                            40

 

 덕트공사 방법

덕트의 종단은 막을 것

덕트는 접지공사를 한다.

금속 덕트의 뚜껑은 쉽게 열리지 않도록 시설할 것.

급속 덕트 상호는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급속몰드 공사

외상을 받을 우려가 없는 전개된 건조한 장소나 점검할 수 있는 은폐장소에 시설.

몰드 안에는 접속점이 없도록 한다.

사용전압이 400V 이하이므로 접지공사를 한다.

지지점 간 거리는 1.5m이하마다 한다.

 

 

- 발전제동 : 운전 중의 전동기를 전원에서 분리하고 발전기로 작용시켜 회전체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킨 다음 저항 중에서 열에너지로 소비시켜서 제동하는 방법이다.

 

- 회생 제동 : 유도 전동기를 전원에연결시킨 상태로 동기속도 이상의 속도에서 운전하여 유도 발전기로 동작시켜 제동하며 발생 전력을 전원에 반환하는 방법이다.

 

-역상 제동 : 3상 유도 전동기를 운전 중 급히 정지시킬 경우 1차 측 3선 중 두 선을 바꾸어 접속해서 회전자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유도 전동기는 그 순간에 강력한 유도 제동기가 되는 역상 제동이다.

 

- 단상 제동 : 3상 유도 전동기의 3상 중 두 상의 선을 합하고 나머지 한 상과 단상 교류를 공급하면 유도 전동기는 단상 전동기가 되어 자계는 공간에 고정된 교번자계로 되어 제동하는 방식

 

 

 변압기유는 절연 및 냉각 목적으로 공기에 비해 절연내력 및 비열이 큰 광유를 사용한다.

-구비조건

   절연내력이 클것

   절연재료 및 급속과 접촉해도 화학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것

   인화점이 높고 응고점이 낮을 것

   유동성이 크고 비열이 커서 냉각 효과가 클 것

   점도가 낮을것

   고온에서도 석출물이 생기거나 산화하지 않을 것

 

어스테스터 : 접지 저항, 액체 저항 측정 계기

- 검류기 : 미소 전류 측정 계기

-변류기 :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는 계기

- 메거 : 절연 저항 측정기

 

제벡 효과 : 서로 다른 금속을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든 후 두 접합점의 온도를 다르게 했을 때 폐회로에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열전류가 흐르는 현상

-펠티에 효과 : 서로 다른 금속을  접속시켜 폐회로를 만들고 전류를 흘리면 접합부에서 열이 발생 또는 흡수되는 현상

-톰슨효과 : 같은 종류 급속을 접합하여 두 점 간에 온도 차를 주고 고온에서 저온 쪽으로 전류를 흘리면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가 일어나는 현상

 

푸리에 급수이용 분석 : 비정현파는 직류 성분, 기본파 성분, 고조파 성분의 합으로 표시

 

화약류 저장 장소의 배선공사에 전용 개폐기에서 화약류 저장소의 인입구 까지는 케이블 사용 지중 전선로 시설해야 한다. 대지 전압은 300V이하

 

단선의 직접 접속

-단면적 6mm^2 이하 : 트위스트 접속

-단면적 10mm^2 이상 : 브리타니아 접속

 

  동기 전동기의 전지자 전류가 최소일 때 역률 1.0

- 동기 전동기에 단자 전압 및 풀력을 일정한 상태로 두고 계자 전류를 변화시키면, 전기자 전류와 역률이 달라진다.

- 일정 출력에서 여자를 약하게 해 주면 지상 역률의 전기자 전류를 위한다.

-여자를 강하게 하면 진상 역률의 전류를 취하게 한다.

 

  금속관 배관 공사에서 절연 부싱을 사용하는 것은 전선의 피복 훼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728x90

'나의 하루 > 전기기능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7  (3) 2022.07.01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6  (1) 2022.06.28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4  (10) 2022.06.23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3  (4) 2022.06.07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2  (1) 2022.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