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심 : 자기회로를 만드는 부분으로 회전에 딸른 자속 방향이 수시로 변화하면서 와전류(성층 철심으로 감소)나 히스테리시스(규소강판 사용으로 감소) 현상에 의한 철손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계자(전기자) 철심은 이 철손을 줄이기 위해 두께 0.35mm~0.5mm 정도의 얇은 규소강판을 성층해서 만든다.
■ 분기회로의 과부하보호장치 설지점과 분기점 사이에 다른 분기회로 또는 콘센트의 접속이 없고, 단락의 위험과 화재 및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최소화되도록 시설된 경우 분기회로의 과부하보호장치는 분기점으로 부터 3m까지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다.
■ 초퍼회로 : ON,OFF를 고속도로 변환 할 수 있는 스위치, 직류변압기 등에 사용되는 회로
- 인버터 :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장치
- 컨버터 :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
- 사이클로 컨버터 : 교류를 또 다른 교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장치
■ 방전코일 : 콘덴서를 회로에서 개방햐였을때 전하가 잔류하여 일어나는 위험의 방지와 재투입할 때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의 방지를 위하여 방전 징치로 사용한다.
- 전력용 콘덴서 : 전력용 콘덴서는 선로의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전력용 콘덴서를 진상용 콘덴서라고도 한다. 콘덴서의 부속기기로 방전 코일과 직렬 리액터가 있다.
- 직렬 리액터 : 일반적으로 역률 개선용 콘덴서에 리액터를 직렬로 삽입한 리액터를 말하며, 제 5고조파 제거, 파형개선, 개폐 시 계통의 과전압 억제, 고조파 전류에 의한 계전기 오작동 방지. 콘덴서 투입시 돌입전류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 피뢰기 : 이상전압 침입 시 전류를 대지로 방전시키고 속류를 차단한다.
■ 교통신호등 : 회로의 사용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경우에 지락 발생시 자동적으로 전로를차단하는 누전차단기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 줄의법칙 :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량 Q=0.24I^2Rt[cal] 전류의 열작용과 관련이 있다.
■ 스코트 결선 : T 결선 - 단상 변압기 2대를 이용하여 3상에서 2상으로 변환하는 방법. 이용률은 86.6%
■ 모든 관공사의 부싱 : 관 끝단에 설치 전선의 피복 훼손 방지를 위한 것.
■ 분진 방폭형 유연성 부속 : 가연성 분진에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에 합성수지관공사로 저압 옥내배선을 하는 경우 전동기에 접속하는 부분에서 가용성을 필요로 할 때 사용되는 방폭형 부속품
■ 직류전동기 속도 제어법
- 전압 제어법 : 전기자에 가하는 전압 V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정토크 제어이다.
- 계자 제어법 : 계자 전류를 조정하여 자속 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정출력 제어
- 저항 제어법 : 전기자에 직렬로 저항을 넣어서 값을 변화시키는 방법 전력손실이 크며, 속도 제어의 범위가 좁다.
'나의 하루 > 전기기능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7.12 전기기능사 공부 009 (6) | 2022.07.12 |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9 (1) | 2022.07.11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7 (3) | 2022.07.01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6 (1) | 2022.06.28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5 (12)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