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류 직권 전동기를 사용하려고 할 때 벨트를 걸고 운전 하다 벨트가 벗겨지면 전동기가 갑자기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무부하가 되면, 회전속도가 급격히 상승(무구속 속도) 하여 위험하므로 무부하 운전이나 벨트운전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펠티에 효과 : 서로다른 금속 두개를 접속하여 전류를 통하면 그 접점에서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일어난다.
줄열과 달리 전류의 방향에 따라 열의 흡수와 발생이 다르게 다타난다.
■ 전압 변동률 : 변압기 또는 발전기에 부하를 접속하였을 때 단자 전압을 무부하 상태일 때와 비교하여 강하된 전압을 퍼센트로 나타낸 것
■ 케이블의 고장점을 찾는 데 사용되는 방법
- 수색코일에 의한 방법, 펄스 측정법, 머레이 루프법
■ 급속덕트의 크기는 전선의 피복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가 급속 덕트 내 단면적의 20% 이하가 되도록 선정하여야한다.
■ 강자성체 : 자기장의 방향으로 강하게 자화되는 물체 철, 니켈, 코발트
■ 상자성체 : 외부에서 인가하 자기장의 방향으로 약하게 자화되는 물체 알루미늄, 산소, 공기
■ 반자성체 : 외부에서 인가한 자기장의 반대 방향으로 자화되는 물체 구리, 아연
■ 과복권 발전기 : 직류 복권 발전기의 부류, 부하와 발전기 사이가 멀어 배전 선로의 저항에 의한 전부하에서의 단자 전압이 무부하 전압보다 높아지는 급전선의 전압강하 보상용으로 사용된다.
■ 배관의 지지
- 배관의 지지점 사이의 거리는 1.5m 이하로 하고, 관과 관, 관과 박스의 접속점 및 관 끝은 300mm 이내에 지지한다.
- 가는 전선관의 지지점 사이의 거리는 0.8~1.2m 가 적당하다.
- 옥외 등 온도 차가 큰 장소에 노출 배관을 할 때에는 12~20m 마다 신출 커플링을 사용하낟.신축되는 부분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 리노 테이프 : 접착성은 떨어지나 절연성, 내온성, 내유성이 좋아 연피 케이블의 접속에 사용한다.
■ 전자력
'나의 하루 > 전기기능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8 (3) | 2022.07.05 |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7 (3) | 2022.07.01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5 (12) | 2022.06.27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4 (10) | 2022.06.23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3 (4)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