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N 접합 다이오드의 대표적인 작용 : 전압의 방향에 따라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흐르지 못하게 하는 정류 작용
■ 가연성의 먼지로서 공중에 떠다니는 상태에서 착화하였을 때 폭발의 우려가 있는 곳의 저압 옥내 배선은
합성수지관 공사, 금속관 공사, 케이블 공사에 의하여 시설
■ 금속관 공사에서 녹아웃의 지름이 금속관의 지름보다 큰 경우에 사용하는 재료는 링 리듀서
■ 고압 가공인입선이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되는 경우 노면상 3.5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어야 한다.
■ 타임스위치 소등시간
- 숙박업호 입규 : 1분이내 소등
- 일반 주택 및 아파트 : 3분이내 소등
■ 합성수지관 공사
-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한다.)일 것
-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짧고 가는 합성수지관에 넣을 것 또는 단면적 10mm^2 (알루미늄선은 단면적 16mm^2)이하의 것은 그렇지 않음
- 합성수지관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 관 상호 간 및 박스와는 관을 삽입하는 깊이를 관의 바깥지름의 1.2배(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8배) 이상으로 하고 또한 꽃음 접속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속할 것
- 관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1.5m 이하로 하고, 또한 그 지지점은 관의 끝, 관과 박스의 접속점 및 관 상호 간의 접속 점 등에 가까운 곳에 시설할 것
-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방습 장치를 할 것
■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의 약호 : OW
■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 : DV
■ 돈기 전동기의 특성
- 토크는 전압에 비례한다.
- 동기속도의 일정 속도로 운전한다.
- 기계적 출력은 회전력에 정비례한다.
■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 :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결정
■ 플레밍의 왼손 법칙 : 전자력의 방향을 결정
■ 앙페르의 주회적분 법칠 :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결정
■ 줄의법칙 : 전류가 부하에 흘러서 발생되는 열량을 결정
■ 계기용 변압기(PT)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측정계기나 보호 계전기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계기
- 수변전 설비의 고압회로에 걸리즞 전압을 표시하기 위해 전압계를 시설할 때 고압회로와 전압계 사이에 시설
■ 동전선의 종단 접속
- 가는 단선 4mm^2 이사의 종단접속
- 동선 압착 단자에 의한 접속
- 비틀어 꽃는 형의 전선 접속기에 의한 접속
- 종단 겹침용 슬리브 (E형) 에 의한 접속
- 직선 겹침용 슬리브 (P형) 에 의한 접속
- 꽂음형 커넥터에 의한 접속
- C형 전선 접속기(슬리브)는 직선으로 T형 분기 접속에 사용
■ 직류 분권 전동기의 계자전류를 약하게 하면 자속이 감소하므로 회전수는 증가한다.
■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 과전류 계전기 : 일정 값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 (OCR)
■ 쿨롱의 법칙 - 두 전하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 스프링 와셔 : 진동이 있는 단자에 전선을 접속할 때 사용(이중 너트 같은 역할)
■ 변압기의 온도 시험
- 실부하 시험 : 변압기에 전부하를 걸어서 온도가 올라가는 상태를 시험. 전력이 많이 소비되므로 소형기에만 적용
- 반환 부하법 : 전력 소비 없이 온도가 올라가는 원인이 되는 철손과 구리손만 공급 하여 시험.
- 단락 시험법 : 변압기의 권선을 단락하고 전 손실에 해당하는 부하 손실을 공급해서 온도 상승 측정
변압기의 온도 상승 시험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됨
■ 영구자석 재료 : 잔류자기와 보자력 모두 큰 것을 사용
- 전자석 : 잔류자기는 크고 보자력은 작은 것을 사용
■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 건조한 장소 시설 ( 금속관공사, 금속몰드공사, 합성수지관공사)
플로어덕트공사 : 점검이 불가능한 은폐장소, 건조한 장소에 시설
■ 인터록 회로 : 주회로의 단락 방지 등을 위한 회로, 안전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중요한 회로
'나의 하루 > 전기기능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9 (1) | 2022.07.11 |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8 (3) | 2022.07.05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6 (1) | 2022.06.28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5 (12) | 2022.06.27 |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004 (10) | 2022.06.23 |